심폐소생술 방법
1
반응의 확인
- 환자에게 접근하기 전에 구조자는 현장이 안전한 상황인지 확인한다.
- 구조자는 현장이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다가가 반응을 확인한다.
- 반듯이 돌아 눕힌 다음,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, 큰소리로“여보세요, 괜찮으세요?”라고 물어보며 반응을 확인한다.
-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.
- 일반 구조자가 외상환자를 구조할 때에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환자를 이동시키도록 한다.
심정지 환자의 특징 및 증상
- 가슴을 부여잡으며 쓰러짐
- 완전한 무반응(어떠한 자극에도 반응 없음)
- 비정상적인 호흡(무-깊은 호흡 반복)-코고는 듯한 호흡음
2
도움 및 119신고 요청
- 주변 사람에게(꼭 집어서) 119 신고를 부탁하고, 자동심장충격기(AED)를 요청한다.
3
흉부 압박
- 먼저 환자의 가슴뼈 아래쪽 1/2중앙에 한 손바닥을 올려 놓고 그 위에 다른 손을 겹친다.
* 무릎을 꿇은 자세,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 - 분당 100~120회의 속도로, 성인 약 5cm 깊이로 압박한다
- 압박과 이완의 시간은 같은 정도로 하고, 각각의 압박 후에는 가슴이 완전히 올라오도록 한다.
* 압박 시 양팔을 쭉 편 상태에서 체중을 실어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게 눌러준다
4
인공호흡 2회 시행
- 먼저 머리를 젖혔던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잡아 막는다.
- 코를 막고 입을 완전히 밀착하여 정상호흡을 약 1초 동안 2회 숨을 불어 넣는다.
* 인공호흡이 어려울 경우 가슴압박을 지속적으로 시행
5
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
- 119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30:2로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해서 시행한다
출처 : 중앙응급의료센터, 질병관리청 손상예방관리과